greatjade 2020. 4. 15. 10:31

- 읽은 시기 : 2020년 2월 중

 

## 클루지

 인간이 생존을 위해 어쩔수 없이 선택한 것에 의해 일어나는 심리적 오류

 eg) 부정적 사건에 대한 과대해석 - 생존을 위해 사건, 사고에 더 민감하게 반응

 eg) 당섭취와 생존

 eg) 매몰비용의 오류

 

## 맥락과기억

 P67. 우리의 기억은 맥락, 빈도, 최근도의 함수이다.

       정확성보다 속도를 중시

 - 맥락의존적 기억 : 자신이 처한 상황과 관련된 일을 더 쉽게 기억하는 것

 

## 오염된 신념

 후광효과 

 focusing illusion

 표본오류

 앵커링

 위기상황에서 친숙효과 ( 친숙한 것을 선택)

 확증편향 ( 친숙한 것을 먼저 또렷하게 기억하기 때문에)

 헛소문도 많이 들으면 진실

 

 뇌의 알고리즘

  먼저 받아들이고 판단한다. ( 이렇게 진화됨)

 

## 선택과 결정

 우리의 뇌는 신속성, 맥락 민감성을 중심으로 진화했다.

 맥락은 우리에게 생각할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신념은 물론 선택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 언어의 한계 ( 태생적 충돌)

 1. 인간이 소리내는 방식 - 이상적인 소리

 2. 우리의 언어는 영장류가 세계를 이해하는 바탕으로 형성

 3. 우리의 기억체계는 위급할땐 잘 동작하지만 언어를 위해서는 적당하지 않음.

 결론 > 총체적 클루지

 

## 인간은 왜 쾌락, 행복을 추구할까?

 - 좋은 음식, 섹스, 존중, 자녀의 성공.. 모두 번식과 관련

 - 우리는 다른 사람을 필요로 할수록 그 사람을 더 좋아한다.

 - 게임

   : 인간은 통제 욕망이 있다. 게임은 현실에서 불가능한 완벽한 통제를 경험하게 해준다.

 - 사춘기 시절 더 충동적인 이유

   1. 반사체계 - 단기적 욕망 - 뇌 (중격의지핵) - 진화적으로 먼저 발달됨

   2. 숙고체계 - 장기적 욕망 - 뇌 (전두피질)- 나중에 발달 - 어른이 되서 완전 발달됨

 

##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자기통제의 산에 오르기 위한 투쟁의 연속이다.

 

## 클루지 스러운 정신세계

 - 확증편향, 동기에 의한 추론, 맥락의존적 기억

 

## 클루지를 이겨내는 13가지 제안

 1. 대안이 되는 가설을 함게 고려한다.

 2. 문제의 틀을 다시 짜고 질문을 재구성한다. - 맥락기억에서 탈피

 3. 상관관계가 인과관계가 아니다.

 4. 표본의 크기를 결코 잊지마라

 5. 자신의 충동을 미리 예상하고 앞서 결정하라. 

 6. 막연히 목표만 정하지 말고 조건부 계획을 세워라.

 7. 피곤하거나 마음이 산만할때 중요한 결정을 내리지 마라

 8. 언제나 이익과 비용을 비교 평가하라. (기회비용 고려)

 9. 3자가 내 결정을 지켜보고 있다고 상상하라

 10. 자신에게 거리를 두어라. eg) 내일의 나라면?

 11. 생생한 것, 개인적인 것, 스토리를 경계하라.... 반대로 이야기하면 이것을 이용하라, 마케팅!

 12. 가장 신중한 결정은 중요한 선택을 위해 아껴둬라. (에너지 분배 잘할 것!)

 13. 합리적으로 되려고 노력하라